# OS/[ Linux ]

[허언증/리눅스] Linux 네임서버 구축 (DNS서버)

이론과 실습 사이 2020. 3. 13. 22:53
반응형

안녕하세요 허언증입니다. 

 

 

 

 

네임서버를 위해 첫 번째는 웹 서버를 설치해야 한다. 

 

명령어 : yum -y install httpd 

웹 서버를 설치 후 

명령어 : systemctl start httpd  실행을 시켜준다.

그리고 

방화벽을 풀어준다.

 

/var/www/html/index.html 을 입력해 인덱스파일을 만들고 간단하게 작성

 

현 재상황 : 웹서버 설치 , 웹 서버 접속시 첫 페이지 완성 사실상 이게 끝이지만 세부적으로 연결을 해줘야 한다!

 

 

 

네임 서버 서비스가 시작될때 제일먼저 읽는 파일이 /etc/named.conf 이다. 이 파일에서 설정을 하고 해당 항목은 DNS서버에가 접속권한을 설정한다고 생각하면 된다.!

 

 

 

 

 

그리고 추가된 이 코드들은 

type

: master , slave 

 

file "파일이름 "

: 위에 있는 any ,none 설정했던 options의 디렉터리에 생성될 도메인 이름의 상세 파일

 

allow-update

: 2차 네임 서버주소 알맞게 설정후 저장!

그리고 named-checkconf를 이용해서 작성한 내용에 이상이 없는지 체크!

 

 

 

 

 

 

이제 /var/named/MKH.com.db 파일을  생성해서 (포워드 존 또는 정방향 영역파일 )

포워드 존 파일에 작성 후 

명령어 : named-checkzone MKH.com MKH.comdb

입력해서 문법에 이상이 없는지 체크

 

 

참고

DNS가 뭐야 ? Click!!

 

네임서버(DNS)가 뭐야? Click!!

 

 

 

 

마지막으로 명령어 :systemctl restart named 입력후 접속을 해보자!

 

 

리눅스 - 192.168.111.xxx  (DHCP 할당) 
Windows - 192.168.111.xxx  (DHCP 할당)
리눅스 - 192.168.111.100 (서버에서 접속)
호스트PC -> 서버로 접속(VMware 내부에 있는 서버)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