허언증

https://www.acmicpc.net/ Baekjoon Online Judge Baekjoon Online Judge 프로그래밍 문제를 풀고 온라인으로 채점받을 수 있는 곳입니다. www.acmicpc.net 저 같은 경우 C++언어로 문제를 풀었습니다!! 파이썬(python), 자바(java)는 안 풀었어요..... BaekJoon - 입출력과 사칙연산 (단계별) 백준(Baekjoon)_if_1330_두 수 비교하기 백준(Baekjoon)_if_2753_윤년 백준(Baekjoon)_if_2884_알람 시계' 백준(Baekjoon)_if_9498_시험 성적 백준(Baekjoon)_if_10817_세 수 정답 https://github.com/MinKyungHwi/Baekjoon/tree/master..
https://www.acmicpc.net/ Baekjoon Online Judge Baekjoon Online Judge 프로그래밍 문제를 풀고 온라인으로 채점받을 수 있는 곳입니다. www.acmicpc.net 저 같은 경우 C++언어로 문제를 풀었습니다!! 파이썬(python), 자바(java)는 안 풀었어요..... BaekJoon - 입출력과 사칙연산 (단계별) 백준(Baekjoon)_입출력과 사칙연산_1000 - A+B 백준(Baekjoon)_입출력과 사칙연산_1001 - A-B 백준(Baekjoon)_입출력과 사칙연산_1008 - A/B 백준(Baekjoon)_입출력과 사칙연산_2557 - Hello World 백준(Baekjoon)_입출력과 사칙연산_2588 - 곱셈 백준(Baekjoon)..
안녕하세요. 허언증입니다. 객체, 변수, 배열, 문자열에 대해 포인터 관련 자료
안녕하세요. 허언증입니다. 포인터와 상당히 비슷하며, vector, deque, set, map, list등과 같은 컨테이너에 저장되어 있는 원소를 참조(접근)할 때 사용됨 (stack, queue에는 iterator가 없음) 반복자는 컨테이너와 알고리즘이 하나로 동작하게 묶어주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. 사용예시 - vector::iterator i; - list::iterator i; - deque::iterator i; 특징 - 반복자는 컨테이너 내부의 원소(객체)를 가리키고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. (*연산자 제공 / ++연산자) - 반복자는 원소로 이동하고 컨테이너의 모든 원소를 순회가능 ( 제공, !=, == 비교 연산자 제공) 참고 : https://blog.naver.com/jhsh8788..
안녕하세요. 허언증입니다. enum 열거형 enum 을 선언한 상태입니다. 열거된 유형은 가능한 모든 값이 기호 상수로 정의되는 자료형입니다. 지금 같은 경우 SCISSORS 은 0값을 받고 ROCK 은 1 / PAPER 은 2을 받습니다. 처음 선언부 부터 0부터 차례로 상수값을 받습니다. 특정값을 정해 줘도 되지만 이때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. 이 경우엔 ROCK에 5값을 입력했습니다. 그럼 0,5,1 이 되어야 하지만 PAPER은 6을 부여 받습니다. 최종 적으로 0,5,6 상수값을 부여 받은 것입니다.!!! 특정한 상태 집합을 나타내야 할 때 코드 문서화를 및 가독성 목적으로 매우 유용 보통은 bool 를 이용해서 true false로 받지만 enum를 이용해서 값을 지정해주고 판다할 때 유용하다...
안녕하세요. 허언증입니다. Rand() 함수는 난수를 발생 시킵니다. 난수는 seed 값에 따라 난수 값을 출력합니다 기본 seed값은 1로 설정되어 있고 1을 바꾸면 다른 기준으로 난수를 발생합니다. 다시 실행을 하더라도 저 값을 항상 출력합니다. 41 18467 6334 26500 19169 seed가 1기 때문이죠 그럼 이번엔 srand()함수를 이용해 seed값을 바꾸도록 하겠습니다. *time() 함수를 이용해서 시간으로 랜덤하게 부여함. srand() 함수로 난수를 지정 후 출력을 하면 고정값이 아닌 매번 다른 값으로 출력 하는걸 볼 수 있습니다. DEV++ 인경우 #include를 적어 줘야합니다. 비쥬얼스튜디오는 생략 가능하고 time()함수를 사용하기위해 #include 추가 해줘야 합니..
안녕하세요! 허언증입니다. 버블정렬에 대해 공부 하도록 하겠습니다. 버블정렬(Bubble Sort)? 옆에 있는 값과 비교 후 작은 값을 앞으로 보내면 어떨까? 생각에서 만들어지게 된 알고리즘 입니다. 곧 바로 예시로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1, 5, 3, 10, 4, 7, 9, 2, 6, 8 (정렬되지 않은 숫자 1~10까지의 나열 된 상태입니다) 버블정렬의 방식으로 나열을 시작하면 첫 번째 자리에 있는 1을 기준으로 2번 자리 값과 비교를 하고 작은 수와 자리를 바꿔줍니다. 1은 이미 제일 작은 수 이기도 하고 첫 번째자리에 있으니 변화가 없습니다. 이제는 두 번째 자리와 세 번째 자리와 비교를 합니다. 1, 5, 3, 10, 4, 7, 9, 2, 6, 8 두 번째자리인 5 와 세 번째 자리를..
안녕하세요! 허언증입니다. 선택정렬에 대해 공부 하도록 하겠습니다. 선택정렬(Selection Sort)? 가장 작은 것을 앞으로 이동시키면 어떨까? 생각에서 만들어지게 된 알고리즘 입니다. 곧 바로 예시로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1, 5, 3, 10, 4, 7, 9, 2, 6, 8 (정렬되지 않은 숫자 1~10까지의 나열 된 상태입니다) 선택정렬의 방식으로 나열을 시작하면 첫 번째 자리에 있는 1을 기준으로 2~10번 자리까지 비교를 하고 제일 작은 수와 자리를 바꿔줍니다. 1은 이미 제일 작은 수 이기도 하고 첫 번째자리에 있으니 변화가 없습니다. 이젠 첫 번째 자리를 제외하고 두 번째 자리에 있는 5를 가지고 비교를 시작합니다. 1, 5, 3, 10, 4, 7, 9, 2, 6, 8 3~10번..
이론과 실습 사이
'허언증' 태그의 글 목록 (8 Page)